반응형
군인 병사분들이 월급이 인상된다는 말은 많이 들어 보셨을 텐데요.
그만큼 부사관, 장교분들, 직업 군인분들의 월급, 연금 역시도 올라야 한다고 말이 참 많습니다.
이에 맞춰 정부에서는 매년 공무원, 군인 연금을 물가 상승률에 맞춰 인상률을 올리고 있는데요.
군인연금의 경우, 현행 연금 중에 수령자 입장에서 가장 좋은 연금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사학연금은 만 65세까지 기다려야 하는 반면 군인연금은 제대하는 즉시 바로 연금 시작이기도 하고
군인연금을 받는 계급은 부사관은 최소 상사, 장교는 최소 소령입니다.
나라를 지켜주는데 당연한 보답이 아닐까 싶네요!
이번 시간에는 군인연금에 대해서 알아볼건데요. 먼저 군인연금 종류입니다.
군인연금 종류
군인연금의 종류에는 크게 퇴직급여, 장해급여, 유족급여, 부조급여가 있습니다.
퇴직급여
-
퇴역연금: 군인이 19년 6개월 이상 복무하고 퇴직한 경우, 그때부터 사망할 때까지 지급하는 연금. (보통 군인연금이라 하면 이 퇴역연금을 의미하는 경우가 대부분 입니다.)
-
퇴역연금일시금: 퇴역연금 해당자 본인이 연금이 아닌 일시금 수령을 원하는 경우 지급하는 일시금.
-
퇴역연금공제일시금: 19년 6개월을 초과하는 복무기간 중 본인이 원하는 기간에 대해서 그 기간에 해당하는 퇴역연금을 갈음하여 지급하는 일시금.
-
퇴직일시금: 군인이 19년 6개월 미만 복무하고 퇴직한 경우에 지급하는 일시금. 다만 1개월 이상 ~ 5년 미만의 경우와, 5년 이상 ~ 19년 6개월 미만의 경우는 산정 금액의 산식에 차이가 있습니다. 1개월 미만 복무한 경우에는 퇴직급여 수령이 불가능.
-
퇴직수당: 군인이 1년 이상 복무하고 퇴직하거나 사망한 경우에 지급하는 수당. 위의 퇴직급여들과는 별개로 지급.
장해급여
-
상이연금: 군인이 공무상 부상/질병으로 장해가 되어 퇴직 혹은, 이로 인해 퇴직 후에 장해가 된 경우에 지급하는 연금.
-
장애보상금: 군인이 복무 중에 부상/질병으로 인한 심신장애 판정을 받고 퇴직하거나 퇴직 후 6개월 이내에 이로 인한 심신장애 판정을 받았을 경우 지급하는 보상금.
-
공무상요양비: 군인이 공무상 부상/질병으로 인해 진단, 약 처방이나 수술, 치료 등의 요양을 하게 된 경우에 지급하는 요양비.
유족급여
퇴직유족급여
- 퇴역유족연금: 퇴역연금을 받을 권리가 있는 사람이 사망한 경우에 그 유족에게 지급하는 연금. 그 금액은 수령하던 퇴역연금액의 60%입니다.
-
퇴역유족연금부가금: 군인이 20년 이상 복무 중 사망한 경우에 그 유족에게 퇴역유족연금 외에 부가금을 추가로 지급.
-
퇴역유족연금일시금: 퇴역연금을 받을 권리가 있는 사람이 군 복무 중 사망한 경우에 유족이 원할 때 위의 유족연금과 유족연금부가금에 갈음하여 지급하는 일시금.
-
퇴직유족일시금: 군인이 20년 미만 복무하고 사망한 경우에 그 유족에게 지급하는 일시금.
재해유족급여
-
상이유족연금: 상이연금을 받을 권리가 있는 사람이 사망한 경우에 그 유족에게 지급하는 연금. 그 금액은 수령하던 상이연금액의 60%입니다.
-
순직유족연금: 군인이 공무상 사망한 경우에 재해보상심의를 거쳐 유족에게 지급하는 연금.
-
순직유족연금일시금: 순직유족연금을 받을 권리가 있는 유족이 원할 때 위 순직유족연금에 갈음하여 지급하는 일시금.
-
사망보상금: 군인이 공무상 사망한 경우 전공사상심사를 거쳐 유족에게 지급하는 보상금.
부조급여
부조급여에는 재난부조금과 사망조위금이 있습니다.
재난부조금: 군인이 화재나 수재 등의 재난으로 인해 재산에 손해를 입었을 때 지급하는 부조금.
-
사망조위금: 군인의 배우자나 부모, 배우자의 부모, 자녀가 사망한 경우 그 군인에게 가지급하는 조위금.
-
분할연금: 군인복무기간 중 정신적, 물질적으로 뒷받침한 배우자의 재산형성 공동기여 부분을 인정하여 이혼한 배우자에게 퇴역급여 일부를 분할해주는 연금제도.
다음은 군인연금을 받을 수 있는 조건입니다.
군인연금 조건
- 군인연금 수급 조건: 군인연금을 받기 위해서는 최소 19년 6개월 이상의 복무가 필요합니다.
- 근속정년: 군에는 근속정년이 존재합니다. 근속정년이란 한 조직에서 일정 기간 이상 근무를 하면 나가도록 하는 제도를 의미하는데, 일반적으로 대위 계급을 달고 최대 15년 정도 군생활을 할 수 있으며, 진급을 하지 못한다면, 이 기간 이후에는 군인연금 수급 자격을 갖추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 연령정년: 대위의 경우 근속정년이 15년으로 제한되며, 연령정년은 43세입니다. 연령정년이란 계급에 따라 군에서의 최대 근무 연령을 의미하며, 이를 초과할 경우 군에서의 복무가 종료됩니다.
- 군무원은 군인연금이 아닌 공무원연금을 수령하며, 이 점에서 직업군인과 차이가 있습니다.
네, 이렇게 군인연금 2025년 인상률과 군인연금 종류, 군인연금 조건에 대해서 알려드렸는데요.
저도 병사였을때, 간부님들이 참 고생하시는 것을 보고 병사들은 물론 간부님들에게 대우가 좋아졌으면 참 좋겠다고 많이 생각했었는데 올해도 조금이나마 대우가 나아져서 참 다행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매년 더 좋아지니깐 언젠가는 군인이 가장 대우 받을 수 있겠죠.
나라를 지켜주는데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반응형
'군인에 관한 팩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군대 보급품 총정리! 이거는 알고 입대하자 (53) | 2025.02.18 |
---|---|
20분만에 휴가 이틀이라고? 현역이 알려주는 구직청원휴가 꿀팁! (98) | 2025.02.09 |
군인 휴가 종류와 일수, 휴가비 총정리 (21) | 2025.02.08 |
대대장이 대장보다 낮다고? 군인 계급 총정리 (14) | 2025.01.27 |
2025년 군인 월급 얼마나 인상되었어요? (1) | 2025.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