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잊지 말아야 할 역사

잊지 말아야 할 역사, 연평해전 (사망자, 당시 대통령, 병력 비교)

반응형

안녕하세요. 군대 정보와 혜택을 주제로 글을 쓰는 밀리네핏 블로그 입니다. 제가 오늘은 블로그의 새로운 코너를 하나 만들었습니다. 바로 '잊지 말아야할 역사' 코너인데요. 우리나라의 역사에는 군 관련 전쟁이 주를 이룰 정도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정작 제대로 역사를 아시는 분들은 찾아보기 힘들더라구요. 제가 하나하나 역사를 알려드릴테니 제 글을 통해 조금이라도 역사를 알아가는 시간이 되셨으면 좋겠어요.
 
 
이번 포스팅에서 소개할 주제는 '연평해전' 입니다. 연평해전은 2002년 6월 29일에 발생한 남북한 간의 군사적 충돌로, 제 2 연평해전으로 불리기 전 '서해교전' 이라고도 불렸습니다. 연평해전 당시 대통령은 김대중 대통령이었으며, 특히 2002년 월드컵 3-4위전 한국과 터키가 축구경기를 하고있을 때 충돌이 일어나 더 많은 이들에게 기억에 남는 사건입니다. 2022년, 20년 만에 연평해전이 승전이 되면서 희생자들의 명예가 더 빛나기도 했습니다. 
 
 

 

 

 

 

연평해전 당시 투입된 병력 비교

 
제2 연평해전에서 북한은 등산곶 경비정 1척과 육도 경비정 1척을 동원했는데 이에 대응하여 대한민국 해군은 포항급 초계함 2척과 참수리급 고속정 6척을 투입했습니다. 
 
 

 

 

 

연평해전 교전 상황

 
2002년 6월 29일 대한민국 서해 연평도 부근 NLL 북서쪽 방향 일대에서 북한 해군 서해함대 8전대 7편대 소속 경비정 등산곶 684호정의 85mm 전차포 선제 포격 도발로 시작 되었습니다.
 
제 2 연평해전 교전 상황을 타임라인으로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06:30 어로보호 지원을 위해 남한의 고속정 3편대 6척 출항.
  • 09:54 북한군 경비정 등산곶 388호(155톤) NLL을 넘어 남하 시작. 대한민국 해군 253 고속정 편대 대응기동 실시.
  • 10:01 북한군 고속정 등산곶 684호(215톤) 추가 남하. 대한민국 해군 232 고속정 편대가 대응기동.
  • 10:25 북한군 등산곶 684호가 탑재된 85mm 함포로 450m 거리에서 차단기동을 실시하던 참수리 357호에 기습 발사, 남한 232 편대 대응 사격. 이 과정에서 참수리 357호의 조타실이 파괴되고 윤영하 정장이 전사.
  • 10:26 후방에 있던 253·256 고속정 편대 전파사격 개시.
  • 10:30 256 편대 공격 개시.
  • 10:33 253 편대 공격 시작.
  • 10:43 포항급 초계함 화력 지원 개시.
  • 10:47 진해함(포항급 초계함) 화력 지원 시작.
  • 10:48 제천함, 북한스틱스 미사일 전자파 탐지, 대응.
  • 10:51 화염이 발생한 북한 경비정 다른 경비정에 예인되어 NLL 북쪽으로 퇴각.
  • 10:56 전 전력 사격 중지.
  • 11:25 제천함·진해함, 북한의 실크웜 미사일 전자파 탐지, 대응.
  • 11:45 357호 사상자 확인·구조. 357호는 심한 선체 손상으로 예인 포기.
  • 11:59 참수리 357호 침몰.

* 더 자세한 내용은 밑의 위키피디아 참고.
* 출처/ 위키피디아
 
 

 

 

 

 

 

 

연평해전 사망자 및 부상자 현황

 
 
연평해전의 결과로 대한민국 해군에서는 참수리 고속정 357호가 침몰되었고, 군인 6명이 전사, 18명이 부상당했습니다. 북한도 역시 한국보다 더 큰 피해를 받았는데요. 북한은 초계정 등산곶 684호가 파괴되었고 13명이 전사, 25명이 부상당했습니다. 다음은 연평해전 전사자 이자 훈장 명단입니다. 우리나라를 지키려다 희생된 전사자분들을 훈장으로 명예를 마무리 한다는게 개인으로서 할 것이 없어 죄송스럽습니다.
 

출처/ 제2연평해전 16주기(18.6.29) : 네이버 블로그

 

 

 

 

 

연평해전 국가유공자

 
 
2025년 기준으로 제2 연평해전에 참전하신 장병 26명 중 국가유공자 등록을 신청한 장병 20명 모두가 국가 유공자로 등록이 되었습니다. 이들은 나라를 위해 헌신한 영웅들로, 그들의 희생은 결코 잊혀져서는 안 될 일이죠. 국가유공자들은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는데, 이는 그들의 희생을 기리기 위한 최소한의 보상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연평해전의 의의와 교훈

 
 
연평해전은 단순한 군사적 충돌이 아니라, 남북한 간의 긴장 관계를 다시 한번 일깨워준 사건입니다. 이 전투를 통해 우리는 군사적 대비의 중요성과 평화의 소중함을 다시금 느끼게 되었죠. 특히, 항상 방심할 때 주의해야한다는 걸 느끼게 해주었습니다. 이처럼 연평해전은 단순한 전투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앞으로도 많은 이들에게 교훈이 될 거예요. 전투의 결과를 통해 우리는 평화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깨닫게 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더 나은 미래를 위해 노력해야겠죠.
연평해전은 우리에게 많은 것을 가르쳐 준 사건입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역사적 사건들을 잊지 않고, 그 의미를 되새기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오늘은 '제2연평해전' 에 대해서 포스팅해보았는데요. 새로운 테마이자, 무거운 역사들을 다루는 터라 저도 많이 공부하고 포스팅을 올려야 겠다는 생각이 많이 듭니다 ㅎㅎ. 글을 읽으시다가 더 궁금하신 내용이 있으시면 댓글 달아주세요. 제가 더 알아봐서 열심히 답글 달겠습니다. 이번 포스팅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반응형